광복 80주년 기념 사진전 서울에서 살으렵니다 2025년 4월 11일 – 7월 11일 이형록 HyoungRok LEE 홍순태 HONG Soontai 한정식 HAN Chungshik 김기찬 KIM Kichan 이갑철 Gap Chul LEE 구본창 Bohnchang KOO 방병상 BANG Byungsang 안세권 AHN Sekwon 금혜원 Hyewon KEUM 김태동 KIM Taedong 박찬민 Chanmin PARK 송영숙 Youngsook SONG 12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서울 80년, 광복과 전후 재건, 그리고 <서울의 찬가> 그 이후 서울은 이제 어느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세계적인 메가 시티(mega–city)가 되었다. 이는 단순히 인구 천만 명을 넘는 도시이기 때문만이 아니다. 서울은 한국의 정치, 경제적 역량과 문화가 집중되고 그 힘이 전세계로 발산되는 한국의 수도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권력과 자본 그리고 엄청난 양의 정보가 서울을 통해 확산되고 해외의 그것들이 서울을 관통하기 때문이다. 조선왕조 500년 그리고 그 이후 100여 년 동안 한반도의 중심이었던 서울은 세계의 어느 대도시 못지 않게 파란만장한 굴곡의 역사를 짊어졌다. 정변의 무대였고 제국주의의 각축장이었다. 옛 것과 새것, 진보와 보수가 갈등하는 현장이었고, 현기증 나는 산업화, 현대화의 실험장이었다. 이러한 갈등과 충돌의 과정의 통해 서울은 빠른 속도로 세계의 중심 도시로 자리매김했다. 한국은 서울의 구심력에 빨려 들었고, 서울의 원심력은 경기도 일원을 삼켜버렸다. 도시 전역에서 일어난 파괴와 건설의 중첩은 광기적 양상을 띠어 수도 서울의 전통적 양상은 아주 적은 흔적만 남긴 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버렸다. 그리하여 600년의 시간은 묻히고 스러지고, 버림받아 서울의 외관은 신생도시의 양상을 띠었다. 겹겹이 쌓인 역사의 지층들에도 불구하고 서울은 신흥 계획도시를 닮아만 갔다. 과다한 도시계획과 과도한 도시개발의 결과로 서울은 시간의 주름을 은폐했고, 역사의 상흔을 엄폐했다. 그리하여 과거의 서울, 서울의 과거는 사람들의 눈에서 멀어져 갔고 기억에서 사라져 갔다. 마침내 서울은 조상의 화석도 없고 나이를 가늠할 신체의 흔적이 없는 기이한 공룡의 도시가 되었다. 마치 성체로 태어나 성장만을 계속하는 도시의 괴물이 존재하는 것처럼 말이다. 무엇보다도 서울이 과거 없는 메가 시티로 변한 결정적 계기는 한국전쟁의 폐해, 그리고 그 후 사회복구 과정에서 본격적으로 추진된 1960년대 경제개발 정책과 직접적 관계가 있다. 중앙집권적 계획경제의 성과가 1960년대 후반부터 가시화되기 시작하자 한국인들은 정치, 경제, 문화의 유일무이한 중심지인 수도 서울로 몰려들기 시작했던 것이다. 대다수의 한국인들은 기존 삶의 터전을 버리고 서울에서 새 삶을 영위하려는 의지에 불탔다. 가난했던 과거와 수치스런 과거를 서울에서 만회하고 보상 받으려는 열정에 개인의 삶을, 가족의 삶을 내맡겼다. <서울의 찬가>가 패티김의 불후의 명곡으로 자리 잡을 즈음, 서울은 마천루를 통해 수직으로 상승했고 대단위 아파트 단지를 통해 강남으로 팽창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 성장과 확장 이면에는 조각난 시간과 공간의 균열도 쌓여만 갔다. 전통의 도시는 사라져갔고, 도시의 소외는 커져만 갔다. 사진 기획전 《Mega Seoul 8 Decades 서울에서 살으렵니다》는 서울의 수복과 한국전쟁, 전후재건을 겪은 1950년대부터 <서울의 찬가>가 유행했던 1960년대를 거쳐, 1980년대 올림픽 개최와 해외 문화의 유입 속에서 인구 천만을 넘어선 서울의 변천사를 조명한다. 상호 이질적인 경향들이 공존하며 충돌하는 서울의 80년을 사진작가 12인의 시선으로 보여주는 전시회다. 전통이 몰락하고, 파괴와 건설이 끊임없이 일어난 수도 서울의 모습을 원로, 중견, 신진 작가의 사진적 시선을 교차시키는 전시회다. 서울 토박이건, 지방 출신이건 참여 작가 모두에게 서울은 친숙하면서도 낯설며, 자기 삶의 터전이면서도 타인의 땅과 같은 거대한 공간이다. 따라서 이 복잡다단한 공간에 대한 경험과 이해는 개인적이고 국지적이며, 그들이 포착한 서울의 모습은 각기 상이하고 개별적일 수 밖에 없다. 그들의 시선에는 각자에 고유한 아이러니와 향수가 배어 있기도 하며, 그들의 카메라는 서울이라는 공간의 모순에 날 선 시선으로 혹은 냉정한 초연함으로 대응하기도 한다. 서로 다른 감성과 지성의 사진언어로 무장한 그들의 작업은 80년의 서울을 기억하고 이해할 수 있는 생생한 흔적의 기록들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서울이라는 도시에 익숙하지 않은 오스트리아 현지 관람객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서울의 역동적인 모습과 그 이면에 자리한 공간의 부조리를 함께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 무료 입장 개막식: 2025년 4월 10일, 18시 / 특별 축하 콘서트 - 양제경(소프라노), 이혜원(피아노)
자세히 보기
사진전: 서울에서 살으렵니다
© Chanyoung Chang K_on_temporary presents: Hyeji Nam – MANSHIN 📅 2025년 4월 4일, 5일 & 7일 | 오후 8시 📍 brut nordwest, Nordwestbahnstraße 8-10, 1200 Wien 🎟 특별 프로모션: "Erinnerung" 코드 사용 시 1+1 티켓 할인 (선착순) K_on_temporary 시리즈의 일환으로,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이 brut Vienna의 imagetanz Festival 2025에서 남혜지 작가의 퍼포먼스 MANSHIN을 선보입니다. MANSHIN은 포스트디지털 시대에서 정체성이 변화하는 과정을 탐구하며, 시각적 요소와 가상 세계를 결합해 다양한 의식의 흐름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작품입니다. 한국의 샤머니즘 전통과 디지털 미디어, AI에서 영감을 받아 기억, 현재, 상실, 소속감이라는 주제를 음악, 퍼포먼스, 그리고 시각예술이 어우러진 형태로 표현합니다. 남혜지(1993년 서울 출생) 작가는 비엔나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다원예술 아티스트로, 퍼포먼스, 사운드 인스톨레이션, 작곡을 통해 기술, 신체 정치, 사회적 금기, 디지털 문화 등의 주제를 다룹니다. 그녀의 작품은 광주 비엔날레(2024), 비엔나 아트 위크 등에서 선보인 바 있습니다. 🎟 티켓 할인 안내 "Erinnerung" 코드를 사용하면 MANSHIN 공연(4월 4일, 5일, 7일) 티켓을 2매 18유로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예매 시 코드를 입력하세요! (선착순 한정 수량) 🔔 티켓 예매: https://brut-wien.at/de/Programm/Kalender/Programm-2025/04/Hyeji-Nam 👉 imagetanz Festival 2025에 대한 정보: https://brut-wien.at/en/Programme/Festivals/Festivals/imagetanz-2025 K_on_temporary는 한국의 동시대 공연예술을 오스트리아에 소개하며, 다양한 예술적 표현이 공존하는 창의적인 플랫폼을 지향합니다. © Elsa Okazaki © Elsa Okazaki
자세히 보기
K_on_temporary X imagetanz 2025 : 남혜지 – 'MANSHIN(만신)'
기념 음악회 시리즈 : The Old Refrain - 비엔나와 서울을 이어주는 오래된 노래 지난해,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은 안톤 브루크너 탄생 200주년과 아르놀트 쇤베르크 탄생 150주년을 기념하며 총 네 차례의 성공적인 공연을 선보였습니다. 올해는 ‘왈츠의 왕’ 요한 슈트라우스 2세 탄생 200주년과 프리츠 크라이슬러 탄생 150주년을 기념하며, 이 특별한 여정을 이어갑니다. 올해 첫 번째 기념 음악회는 3월 5일, 바이올린의 거장이자 작곡가였던 프리츠 크라이슬러를 조명합니다. 크라이슬러는 시대를 대표하는 위대한 바이올리니스트로, 미국으로 이주한 후에도 고향 비엔나의 선율을 가슴 깊이 간직한 음악가였습니다. 그의 음악에는 향수와 애틋한 그리움이 담겨 있으며, 이번 공연에서는 그의 대표작 The Old Refrain, Liebesleid, Schön Rosmarin이 연주됩니다. 또한, 이 곡들은 한국 가곡과 만나 특별한 음악적 대화를 나눕니다. 대표적인 한국 민요 아리랑의 색다른 해석과 함께, 모차르트, 슈만, 슈베르트의 작품들도 무대를 더욱 풍성하게 채울 예정입니다. 이번 공연에는 뛰어난 한국의 연주자인 송영옥(소프라노), 김하나(클라리넷), 장미경(피아노)이 함께합니다. 세 연주자는 깊이 있는 음악성과 탁월한 표현력으로, 시대를 초월한 선율을 생생하게 들려줄 것입니다. 특별한 밤을 함께하며, 잊지 못할 감동을 경험해 보세요! 기념 음악회 시리즈 : The Old Refrain 📅 일시: 2025년 3월 5일 (수) 오후 7시 📍 장소: 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4층 (Kärntner Straße 43, 입구: Kruger Straße 1) 🎟 입장료: 무료 (좌석이 한정되어 있어 사전 예약 필수) ✔ 예약 링크: [링크]
자세히 보기
기념 음악회 시리즈 : The Old Refrain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이 선보이는 여린박 콘서트 시리즈는 국내외 젊은 예술가들에게 소중한 무대 경험을 쌓고, 창의적인 비전을 발전시킬 기회를 제공합니다. 본 시리즈는 공연예술을 전공하는 학생들과 유망한 신진 예술가들이 전문적인 환경에서 자신의 기량을 선보일 수 있도록 마련된 무대입니다. 특히, 참가자들이 자신만의 예술적 색깔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으며, 프로그램 구성부터 공연에 이르기까지 아티스트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클래식 음악, 무용, 다원예술 등 모든 장르의 공연예술이 참여 가능하며, 한국의 문화나 미학적 요소를 담은 작품 또한 환영합니다. (단, 필수 요건은 아닙니다.) 2025년 1분기 중 아티스트 오픈 콜(Open Call)을 통해 지원할 수 있습니다. 이 특별한 시리즈의 첫 무대는 2025년 2월 21일에 열리며, 한국의 권위 있는 제31회 KBS-한전 음악 콩쿠르와의 협업으로 진행됩니다. 본 콩쿠르의 피아노, 현악, 관악, 성악 부문 수상자 6인은 오스트리아에서 마스터클래스 프로그램을 통해 심화 교육을 받게 되며, 그 대미를 장식할 갈라 콘서트가 한국문화원의 여린박 콘서트 개막 연주회로 펼쳐집니다. 이 무대를 통해 수상자들의 깊이 있는 음악성과 열정을 함께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프닝 콘서트 시리즈는 단순한 공연을 넘어, 젊은 예술가들이 자신의 창의적인 목소리를 찾고, 관객과 소통하며, 미래를 향한 중요한 경험을 쌓을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여러분을 이 특별한 음악 여정에 초대합니다! 차세대 국내외 음악 인재들의 무대를 함께 즐겨보세요. 오프닝 콘서트 시리즈 – 제31회 KBS-KEPCO 콩쿠르 수상자 갈라 📅 일정: 2025년 2월 21일 (금) 🕖 시간: 오후 7시 📍 장소: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4층 (Kärntner Straße 43, 입구: Kruger Straße 1) ✔ 참가 신청 링크: https://docs.google.com/forms/d/1QjXU_6J5WVxZhn04mHlKDHKPKYkH1OuEmh3HFP2y7BY
자세히 보기
여린박 콘서트 시리즈 : 제 31회 KBS-한전 음악 콩쿠르 수상자 콘서트
지난 3월 18일,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Korea Kulturzentrum)은 빈국제여성협회 (International Women’s association in Vienna) 회원을 대상으로 전시 ‘한국과 오스트리아의 쪽빛(JJOKBIT: Indigo of Korea and Austria)’ 투어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습니다. 문화원 행사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행사] 빈국제여성협회 (International Women’s association in Vienna) 전시 관람
지난 3월 17일,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Korea Kulturzentrum) 임진홍 원장은 정영수(Jung Young Su) 소설가와 면담을 진행했습니다. 정영수 소설가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ts Council Korea)의 지원을 받아 빈대학교(Universität Wien)에서 3월부터 5월까지 3개월 동안 문학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가합니다.
자세히 보기
[기타] 정영수 소설가 면담
지난 3월 14일,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Korea Kulturzentrum) 임진홍 원장은Otto-Mauer-Zentrum에서 열린 김성민(Sung Min Kim) 작가의 개인전에 참석했습니다. 김성민 작가의 회화 작품은 오는 5월 12일까지 Otto-Mauer-Zentrum에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기타] 김성민 작가 전시 개막식 방문
지난 3월 10일,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Korea Kulturzentrum)은 구타우시 (Marktgemeinde Gutau) 시민을 대상으로 전시 ‘한국과 오스트리아의 쪽빛(JJOKBIT: Indigo of Korea and Austria)’ 투어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습니다. 본 행사에 구타우 시장 요제츠 린트너(Josef Lindner)씨와 구타우 염색박물관장 알프레드 아텐에더(Alfred Atteneder)씨도 참석해주셨습니다. 문화원 행사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행사] 구타우시 (Marktgemeinde Gutau) 전시 관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