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cultural
center
korean cultural
center
korean cultural
center
korean cultural
center

    문화원 활동 콘텐츠

    공연/전시/행사

    전시: 한글문화상품
    공연/전시/행사 전시: 한글문화상품

    전시 한글문화상품 (Hangeul Cultural Products) 2025년 9월 26일 – 12월 12일 ‘한글은 상품이 될 수 있을까?’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에서 개최하는 전시 《한글문화상품(Hangeul Cultural Products)》은 이러한 물음에서 출발합니다. 문자의 기능을 넘어, 한글의 조형성과 철학이 어떻게 동시대 디자인과 만날 수 있을지 탐구하고자, 다양한 분야의 국내 디자이너들이 모였습니다. 이 전시는 그들이 모국어를 매개로 실험하고 고민한 과정을 담은 결과물이자, 한글이 지닌 문화적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플랫폼입니다. 한글은 1443년 조선의 세종대왕이 백성을 위해 창제한 문자로, 누구나 쉽게 익힐 수 있도록 논리적이고 과학적으로 설계되었습니다.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든 자음, 천(ㆍ), 지(ㅡ), 인(ㅣ)을 상징하는 점과 선으로 구성된 모음 등, 문자 하나하나에 철학과 조형적 질서가 담겨 있습니다. 영어나 독일어와 달리, 글자들은 가로로 나열되지 않고 정방형의 ‘블록’ 안에 배열되어 시각적으로 독특한 모듈 구조를 형성하며, 이러한 특징은 한글이 단순한 문자가 아니라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음을 보여줍니다.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Korea Kulturzentrum)과 국립한글박물관(National Hangeul Museum)이 공동으로 주최하고, 빈디자인위크(Vienna Design Week)와 협력해 선보이는 본 전시는, 오늘날 한글이라는 독창적인 문자가 어떻게 제품 디자인(Product design) 속에서 새로운 미적 언어로 구현될 수 있는지를 오스트리아 관람객들에게 소개합니다. 총 35명(팀)의 디자이너가 참여한 이번 전시에서는 약 40점의 디자인 제품이 소개됩니다. 생활용품, 보드게임, 문구·완구를 비롯해 주얼리와 패션 제품에 이르기까지, 출품작들은 모두 한글의 형태적·개념적 특징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했습니다. 한글이 지닌 시각적 잠재력, 그리고 우리의 일상 속에서 구현되는 그 창의적 가능성을 《한글문화상품(Hangeul Cultural Products)》에서 직접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무료 입장 개막식: 2025년 9월 29일, 17시 /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개방시간: 2025년 9월 26일 ~ 10월 5일 - 12 ~18시 2025년 10월 6일 ~ 12월 12일 - 월~금, 13:30 ~ 17:30시

    2025 여린박 콘서트 시리즈: TWIIIINS – 바이올린 사운드의 뉴 스펙트럼
    공연/전시/행사 2025 여린박 콘서트 시리즈: TWIIIINS – 바이올린 사운드의 뉴 스펙트럼

    2025 여린박 콘서트 시리즈: TWIIIINS – 바이올린 사운드의 뉴 스펙트럼 📅 2025년 12월 18일(목) 18:00 📍 한국문화원 4층 공연장 (Kärntner Straße 43, 1010 Wien (입구: Krugerstraße 1)) 2025년 2월 Open Call을 통해 선정된 TWIIIINS는 올해 여린박 콘서트 시리즈의 두 번째 무대를 선보입니다. TWIIIINS는 클래식부터 재즈, 펑크, 록, 영화음악까지 다양한 장르를 자유롭게 넘나드는 바이올린 듀오입니다.  이펙터와 루프 스테이션을 활용해 전통적인 바이올린의 틀을 넓히며, 입체적이고 강렬한 사운드를 만들어냅니다. 창의적인 해석과 생동감 넘치는 퍼포먼스를 통해 감정과 에너지, 연주하는 즐거움을 관객과 나누며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이번 공연은 한 해의 끝자락을 긍정적인 울림으로 채워줄 음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객에게 영감과 위로, 그리고 새해를 향한 희망을 전하고자 합니다.  TWIIIINS의 열정적인 무대는 연말의 따뜻함과 새해의 설렘을 음악으로 전합니다. 👉 입장은 무료지만, 좌석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사전 예약이 필요합니다. 🎟️ [예약 링크] 🎻 TWIIIINS 소개 TWIIIINS는 한국과 독일 출신으로 구성된 바이올린 듀오입니다. 장르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새로운 바이올린 사운드를 탐구하고, 음악의 즐거움을 관객과 나누기 위해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또한, 두 아티스트는 잘츠부르크 주립극장(Landestheater Salzburg)의 작품 Der aufhaltsame Aufstieg des Arturo Ui 제작에도 작곡가 및 연주자로 참여했습니다. 바이올린: 김도원 바리톤 바이올린: 리너스 샤스트리 www.twiiiins.com 🎼 여린박 콘서트 시리즈 소개 한국문화원의 오프닝 콘서트 시리즈는 공연예술 분야의 젊은 한국 아티스트들을 발굴·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자들은 자신의 공연을 직접 기획하고 선보이며, 예술적 역량과 표현력을 한층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기념음악회 시리즈: 박자의 숲
    공연/전시/행사 기념음악회 시리즈: 박자의 숲

    기념음악회 시리즈: 박자의 숲 – 아이들을 위한 참여형 콘서트 ‘박자의 숲’ – 크람푸스 시즌을 맞아 준비한 어린이 대상 인터랙티브 체험 공연! 2025년 12월 4일, 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에서는 7세부터 9세까지의 어린이를 위한 특별한 참여형 콘서트가 열립니다. ‘박자의 숲’이라는 제목 아래, 어린이 관객들은 본 공연을 통해 크람푸스와 비슷한 한국 도깨비 캐릭터를 부담 없이 즐겁게 만나볼 수 있습니다. 놀이와 움직임, 그리고 음악을 통해 아이들은 한국의 전통 소리를 익히고, 음악이 서로 다른 문화를 어떻게 연결하는지 직접 경험할 수 있습니다. 🥁 2부에서는 요한 슈트라우스 2세 탄생 200주년을 맞아, 그의 대표작 「박쥐」(Die Fledermaus) 를 바디퍼커션으로 새롭게 재해석한 특별한 무대를 선보입니다. 클래식 곡을 보다 생동감 있게, 그리고 놀이하듯 가볍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구성한 퍼포먼스입니다. 이번 참여형 콘서트는 총 50분 동안 진행되며, 음악 교육의 요소와 예술적 호기심, 그리고 문화 간 소통의 가치를 균형 있게 담아낸 프로그램입니다. 이번 공연은 한국문화원이 마련한 기념 콘서트 시리즈 중 하나로, 어린이들이 다양한 음악의 세계를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출연진: 유희승 – 아이디어, 기획, 바이올린 Karin Meissl – 음악 교육 및 드럼 Johannes Kretz – 컴퓨터 음악 ※ 안내: 본 행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입니다. 추가 참여 문의는 부득이하게 받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여린박 콘서트 시리즈 2025: Blinking Echoes - 이음 콜렉티브(Yi-um collective)
    공연/전시/행사 여린박 콘서트 시리즈 2025: Blinking Echoes - 이음 콜렉티브(Yi-um collective)

    2025 여린박 콘서트 시리즈: Blinking Echoes - 이음 콜렉티브 올해 여린박 콘서트 시리즈의 하이라이트로 이음 콜렉티브가 다원예술 퍼포먼스 ‚Blinking Echoes’를 선보입니다. 이들은 2025년 2월 오픈콜을 통해 선정된 그룹으로, 올해 오픈콜 선정팀 중 가장 먼저 여린박 시리즈의 무대에 오르게 됩니다. 이후 12월에는 TWIIINS, 2026년 1월에는 Duo Martl Kim, 3월에는 Duo 26의 공연이 이어질 예정입니다. 📅 일시: 2025년 11월 28일 (금) | 오후 7시 ⏱ 공연시간: 약 50–60분 📍 장소: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4층 공연장 입장은 무료이지만, 좌석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사전 등록이 필요합니다. →︎ [신청 링크] 여린박 콘서트 시리즈 소개 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의 새로운 공연 시리즈인 여린박 콘서트 시리즈는 공연예술 분야에서 활동하는 젊은 한국 예술가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그들이 자신만의 작품을 기획하고 무대화하며, 예술적 표현력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마련되었습니다. Blinking Echoes 소개 Blinking Echoes는 음악, 신체 움직임, 무대 구성, 설치 작업이 어우러진 다원예술 퍼포먼스입니다. 이 작품은 인간관계 속에서의 만남과 이별의 순간을 감각적으로 무대 위에 펼쳐 보입니다. “우리는 어떻게 서로를 만나고, 다시 헤어지는가?” Blinking Echoes는 일상과 관계 속에서 마주하는 연결과 거리의 순간들을 탐구합니다. 이 ‘깜박이는 메아리’들은 사라지지 않고, 우리에게 다시 묻습니다. “우리를 진정으로 연결하는 것은 무엇인가?” 음악, 움직임, 무대 구성의 조화를 통해 이야기를 풀어내는 이 퍼포먼스는 관객들을 만남과 이별, 기억,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스스로를 다시 발견하는 여정으로 초대합니다. Yi-Um Collective 소개 한국어 ‘이음(이어줌)’이라는 이름처럼, ‚이음 콜렉티브(Yi-Um Collective)’는 서로 단절되거나 배제된 요소들을 연결하는 공간을 만들어 대화와 이해, 그리고 문화적 교류를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최근 주요 프로젝트 • Sunset Virus, Das Weisse Haus (2025) • Unperceivable Senses, Kultursommer Wien (2025) • Within Black Sky, 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 Wien (2025) • Between a Tree, Klima Biennale Wien (2024) 참여 아티스트 • 콘셉트: 박소영, 홍성구 • 퍼포먼스: 준, 정승연, 박소영, 홍성구 • 공연 구성: 홍성구 • 의상 & 무대 디자인: 박소영, 릴리 김 • 사운드: 박예원, 홍성구 • 사진: Lorenz Seidler (esel.at) • 비디오: 김태용, Karl Tak Tsung Ng, 박소영 (편집) 웹사이트 & 소셜 미디어 • June Hwajung | Instagram: @June_Hwajung • 홍승구 – Instagram: @sung_gu_ • 박소영 – Instagram: @work_so_young_ • 정승연 – Instagram: @seung-yeon_jung • 릴리 김 – Instagram: @lily_purple813 Blinking Echoes는 2025년 2월 20일Belvedere 21에서 열린 퍼포먼스 프로그램Performing a Line을 통해 첫선을 보였으며, 이번에는2025 여린박 콘서트 시리즈의 무대에서 다시 관객과 만납니다.

    K_on_temporary X 빈 모던 2025 : WhatWhy Art – Gagokbounce: One by One & 워크숍
    공연/전시/행사 K_on_temporary X 빈 모던 2025 : WhatWhy Art – Gagokbounce: One by One & 워크숍

    🎵 K_on_temporary X 빈 모던 2025 WhatWhy Art – Gagokbounce: One by One & 워크숍 🎶 공연 「Gagokbounce: One by One」 날짜: 2025년 11월 21일(금) & 22일(토) 시간: 20:00–21:30 장소: REAKTOR (Geblergasse 40, 1170 Wien) | 휠체어 접근 가능 티켓: Wien Modern사이트를 통해 구매 가능(13.50–27.00유로 / 페스티벌패스 소지시 5유로) 📘 사전 설명회 | Gagokbounce: One by One 날짜: 2025년 11월 21일(금) 시간: 19:00–19:30 장소: REAKTOR | 휠체어 접근 가능 입장료: 콘서트 관람객은 무료 입장 프로그램:  이번 작품 Gagokbounce: One by One의 작곡 의도, 참여진, 그리고 작품의 배경을 소개합니다. 🎼 워크숍 “Whatwhy Gugak” 날짜: 2025년 11월 20일(목) 시간: 18:00–19:00 장소: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4층 입장료: 무료 (좌석 한정, 사전 등록 필수) *매진 프로그램: 영어로 진행되는 한국 전통 국악기 입문 강좌로서, WhatWhy Art의 연주자들이 각자의 악기, 연주 기법, 표현 방식을 소개하고, 전통음악과 현대음악의 연결에 대해 이야기할 예정입니다. 🎶 앙상블 및 작품 소개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은 Wien Modern 2025와 협력하여 WhatWhy Art 앙상블을 오스트리아에 처음으로 선보입니다. WhatWhy Art는 서울을 기반으로, 한국 전통악기를 바탕으로 현대음악과 아방가르드 예술을 탐구하며, 다양한 음악·퍼포먼스 예술가들과 협업하는 앙상블입니다. Wien Modern 공연을 앞두고, 연주자들은 11월 20일 한국문화원에서 전통 한국 악기의 소리와 연주법을 소개하는 워크숍을 진행합니다(영어 진행). 이어 11월 21일에는 REAKTOR에서 신작 Gagokbounce: One by One을 선보입니다. 2022년 서울 국립극장에서 초연된 이 작품은 섬세한 가곡(Gagok) 노래와 한국계 미국인 예술가 Theresa Hak Kyung Cha의 텍스트를 결합해, ‘목소리’, ‘신체성’, ‘문화적 기억’을 깊이 탐구합니다. 가곡은 섬세한 장식음, 급격한 음역 전환, 숨소리와 거친 질감 등 다양한 표현을 특징으로 하는 한국 전통 성악 양식입니다. WhatWhy Art는 이 전통적 노래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자신들만의 독창적인 예술적 시각을 더합니다. 👥 출연진 Sebastian Claren – 음악, 텍스트 구성 Theresa Hak-Kyung Cha – 원작 텍스트 오현주 – 연출, 무대, 퍼포먼스 WhatWhy Art 조윤영 – 가곡 유홍 – 대금 강지은 – 해금 황지나 – 거문고 김웅식 – 장구 🤝 후원 및 협력 WhatWhy Art와 Wien Modern의 협력으로 열리는 이번 행사는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한국문화체육관광부, KOFICE, K-arts on the GO의 후원을 받습니다. 🔗 자세한 정보 워크숍 : https://www.wienmodern.at/2025-whatwhy-gugak-de-4397 공연 : https://www.wienmodern.at/2025-gagokbounce-one-by-one-de-4389

    아카이브

    [행사] 그라츠 한국문화 페스티벌 'Hallo Graz, 안녕 Graz' (Hallo Graz, Annyeong Graz: Grazer Korea Kulturfest)
    아카이브 [행사] 그라츠 한국문화 페스티벌 'Hallo Graz, 안녕 Graz' (Hallo Graz, Annyeong Graz: Grazer Korea Kulturfest)

    지난 9월 5일부터 6일까지,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은 오스트리아 제2의 도시 그라츠에서 한국문화 페스티벌을 개최했습니다. 첫날에는 “한국이 당신의 편에서 함께 (Korea an deiner Seite)"라는 주제로, 그라츠 카멜리터플랏츠(Karmeliterplatz)에서 이소정 무용단의 넋풀이 공연이 펼쳐졌습니다. 이번 공연은 추모와 위로, 연대의 의미를 담아 관객들에게 깊은 울림을 전했습니다. 이어 헬무트 리스트 할레(Helmut List Halle)에서는 대금 연주자 김혜림, 이소정 무용단, 첼로·가야금 공연이 함께 어우러져 다채로운 무대를 선보였습니다. 둘째 날에는 “한국문화와 즐기는 축제 (Inspire Me Korea)”라는 주제로, 다양한 한국 문화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되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슈타이어마르크주 한국 명예영사, 그라츠 한인회, 한식당 요리, 한국관광공사 프랑크푸르트 지사, 케이뷰티 판매업체 영산, 오스트리아 한류 커뮤니티 나무이벤트, 슬로베니아 한국문화협회와 협력하여 더욱 풍성하게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헬무트 리스트 할레 광장에서는 사물놀이패 Woosoo의 길놀이 공연으로 축제의 열기를 고조시킨 뒤, K-POP 랜덤 플레이 댄스를 진행하여 약 900명의 참가자가 함께하며 케이팝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보여주었습니다. 이어 공연장에서는 사물놀이패 Woosoo, 케이팝 가수 기수(KISU)의 무대, 그리고 K-POP DJ 파티가 이어지며 다채로운 축제의 피날레를 장식했습니다. 문화원 행사에 방문해 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문화원 정보

    • 운영시간

      월-금: 13:30 - 17:30 (주말 및 공휴일: 휴무)

    • 대표전화

    코리아넷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