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PEC) 정상회의
자세히 보기광복 80주년 기념 사진전 서울에서 살으렵니다 2025년 4월 11일 – 7월 11일 이형록 HyoungRok LEE 홍순태 HONG Soontai 한정식 HAN Chungshik 김기찬 KIM Kichan 이갑철 Gap Chul LEE 구본창 Bohnchang KOO 방병상 BANG Byungsang 안세권 AHN Sekwon 금혜원 Hyewon KEUM 김태동 KIM Taedong 박찬민 Chanmin PARK 송영숙 Youngsook SONG 12인의 시선으로 바라본 서울 80년, 광복과 전후 재건, 그리고 <서울의 찬가> 그 이후 서울은 이제 어느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세계적인 메가 시티(mega–city)가 되었다. 이는 단순히 인구 천만 명을 넘는 도시이기 때문만이 아니다. 서울은 한국의 정치, 경제적 역량과 문화가 집중되고 그 힘이 전세계로 발산되는 한국의 수도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권력과 자본 그리고 엄청난 양의 정보가 서울을 통해 확산되고 해외의 그것들이 서울을 관통하기 때문이다. 조선왕조 500년 그리고 그 이후 100여 년 동안 한반도의 중심이었던 서울은 세계의 어느 대도시 못지 않게 파란만장한 굴곡의 역사를 짊어졌다. 정변의 무대였고 제국주의의 각축장이었다. 옛 것과 새것, 진보와 보수가 갈등하는 현장이었고, 현기증 나는 산업화, 현대화의 실험장이었다. 이러한 갈등과 충돌의 과정의 통해 서울은 빠른 속도로 세계의 중심 도시로 자리매김했다. 한국은 서울의 구심력에 빨려 들었고, 서울의 원심력은 경기도 일원을 삼켜버렸다. 도시 전역에서 일어난 파괴와 건설의 중첩은 광기적 양상을 띠어 수도 서울의 전통적 양상은 아주 적은 흔적만 남긴 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버렸다. 그리하여 600년의 시간은 묻히고 스러지고, 버림받아 서울의 외관은 신생도시의 양상을 띠었다. 겹겹이 쌓인 역사의 지층들에도 불구하고 서울은 신흥 계획도시를 닮아만 갔다. 과다한 도시계획과 과도한 도시개발의 결과로 서울은 시간의 주름을 은폐했고, 역사의 상흔을 엄폐했다. 그리하여 과거의 서울, 서울의 과거는 사람들의 눈에서 멀어져 갔고 기억에서 사라져 갔다. 마침내 서울은 조상의 화석도 없고 나이를 가늠할 신체의 흔적이 없는 기이한 공룡의 도시가 되었다. 마치 성체로 태어나 성장만을 계속하는 도시의 괴물이 존재하는 것처럼 말이다. 무엇보다도 서울이 과거 없는 메가 시티로 변한 결정적 계기는 한국전쟁의 폐해, 그리고 그 후 사회복구 과정에서 본격적으로 추진된 1960년대 경제개발 정책과 직접적 관계가 있다. 중앙집권적 계획경제의 성과가 1960년대 후반부터 가시화되기 시작하자 한국인들은 정치, 경제, 문화의 유일무이한 중심지인 수도 서울로 몰려들기 시작했던 것이다. 대다수의 한국인들은 기존 삶의 터전을 버리고 서울에서 새 삶을 영위하려는 의지에 불탔다. 가난했던 과거와 수치스런 과거를 서울에서 만회하고 보상 받으려는 열정에 개인의 삶을, 가족의 삶을 내맡겼다. <서울의 찬가>가 패티김의 불후의 명곡으로 자리 잡을 즈음, 서울은 마천루를 통해 수직으로 상승했고 대단위 아파트 단지를 통해 강남으로 팽창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 성장과 확장 이면에는 조각난 시간과 공간의 균열도 쌓여만 갔다. 전통의 도시는 사라져갔고, 도시의 소외는 커져만 갔다. 사진 기획전 《Mega Seoul 8 Decades 서울에서 살으렵니다》는 서울의 수복과 한국전쟁, 전후재건을 겪은 1950년대부터 <서울의 찬가>가 유행했던 1960년대를 거쳐, 1980년대 올림픽 개최와 해외 문화의 유입 속에서 인구 천만을 넘어선 서울의 변천사를 조명한다. 상호 이질적인 경향들이 공존하며 충돌하는 서울의 80년을 사진작가 12인의 시선으로 보여주는 전시회다. 전통이 몰락하고, 파괴와 건설이 끊임없이 일어난 수도 서울의 모습을 원로, 중견, 신진 작가의 사진적 시선을 교차시키는 전시회다. 서울 토박이건, 지방 출신이건 참여 작가 모두에게 서울은 친숙하면서도 낯설며, 자기 삶의 터전이면서도 타인의 땅과 같은 거대한 공간이다. 따라서 이 복잡다단한 공간에 대한 경험과 이해는 개인적이고 국지적이며, 그들이 포착한 서울의 모습은 각기 상이하고 개별적일 수 밖에 없다. 그들의 시선에는 각자에 고유한 아이러니와 향수가 배어 있기도 하며, 그들의 카메라는 서울이라는 공간의 모순에 날 선 시선으로 혹은 냉정한 초연함으로 대응하기도 한다. 서로 다른 감성과 지성의 사진언어로 무장한 그들의 작업은 80년의 서울을 기억하고 이해할 수 있는 생생한 흔적의 기록들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서울이라는 도시에 익숙하지 않은 오스트리아 현지 관람객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서울의 역동적인 모습과 그 이면에 자리한 공간의 부조리를 함께 경험할 수 있기를 바란다. 무료 입장 개막식: 2025년 4월 10일, 18시 / 특별 축하 콘서트 - 양제경(소프라노), 이혜원(피아노)
자세히 보기
사진전: 서울에서 살으렵니다
UNPLUGGED BODIES x 임펄스탄츠 (ImPulsTanz) 호모 파베르 – The Origin 📅 2025년 7월 24일(목), 26일(토) | 오후 9시📍 Volkstheater (빈)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은 올해에도 세계적인 현대무용 축제인 ImPulsTanz와 협력하여, 한국의 우수한 공연 예술을 소개합니다. 이번에는 언플러그드바디즈(Unplugged Bodies)와 김경신 예술감독의 대표작 <호모 파베르 – The Origin>을 오스트리아 초연으로 선보입니다. 이 작품은 프랑스 철학자 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의 사상에서 출발하여, 도구를 만들던 인간이 점차 그 도구에 의해 지배되는 오늘날의 기술 사회를 강렬한 신체 언어로 풀어냅니다. 빠르고 정교한 움직임 속에서 펼쳐지는 이 작품은, 인간과 기계의 관계를 새롭게 조망하며 깊은 울림을 전합니다. 🎟 ImPulsTanz 공식 홈페이지에서 할인코드 HomoFaber를 입력하시면, 공연 티켓 2매까지 30% 할인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www.impulstanz.com 본 공연은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이 주관하며, 문화체육관광부 및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의 「Touring K-Arts」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됩니다. 📌 김경신 안무가와의 관객과의 대화 📅 2025년 7월 24일(목) 오후 7시 | Volkstheater – Rote Bar | 무료 입장
자세히 보기
UNPLUGGED BODIES x ImPulsTanz: 호모 파베르 – The Origin
전시 아쿠아 천국 (Aqua Paradiso) 2025년 7월 25일 – 9월 19일 권혜원 Hyewon Kwon 부지현 BOO Jihyun 에코 오롯 eco orot 《아쿠아 천국(Aqua Paradiso)》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2022년에 기획한 전시로, 아시아를 비롯한 전 세계 작가 11인이 참여해 '물'이라는 존재를 미학적, 철학적, 생태적 관점에서 탐색한 현대미술 프로젝트다. 이 전시는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3개월간 개최되며, 물이 품은 생명의 근원성과 인간 사회와의 관계를 다층적으로 조명했다. 2025년, 《아쿠아 천국》은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 한국문화원에서 순회 전시로 이어진다. 이번 순회전에는 원전시에 참여했던 작가 중 한국의 권혜원, 부지현, 정은혜(에코오롯) 세 명이 함께한다. 이들은 각기 다른 시각 언어로 물의 감응성과 동역학, 그리고 인류세 시대의 전환적 감각을 제안한다. 이 전시는 물을 단순한 자원이나 배경이 아닌, 감각적 존재이자 생태적 주체로 바라본다. 고대 인류는 물을 초월적 신의 정서적 산물로 여겼으며, 그 압도적 위용 앞에 ‘숭고함(Sublime)’이라는 감정을 품었다. 그러나 산업 문명은 이 감정을 지워내고, 물을 통제의 대상으로 환원시켰다. 기후 재난과 생태계 붕괴는 바로 이 인식 전환의 결과다. 《아쿠아 천국》은 예술을 통해 그 상실된 감각을 다시 불러온다. 물의 리듬, 파장, 흐름을 따라가며 생태계의 균형, 인간의 위치, 그리고 자연과의 상호성을 사유한다. 작품들은 각각의 방식으로 질문을 던진다. 우리는 물을 어떻게 대하고 있는가? 경외는 여전히 가능한가? 감각의 회복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전시는 물의 감각을 되살리는 시도이자, 감각을 통해 다시 관계 맺는 예술적 실천이다. 숭고함의 감정이 회복될 때, 우리는 비로소 생명과 공존할 수 있는 감수성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무료 입장 개막식: 2025년 7월 25일, 18시 /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
자세히 보기
전시: 아쿠아 천국 (Aqua Paradiso)
재즈 & 실험음악 페스티벌인 DE/SEMBLE 페스티벌과 재즈 공연장 ZWE, 그리고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의 협업으로 재즈밴드 용리와 돌아온 탕자들이 다시 한 번 비엔나를 찾아옵니다. 일시: 2025년 6월 20일 (금) | 오후 8시 장소: ZWE, Floßgasse 4, 1020 Wien 용리와 돌아온탕자들(Yonglee & the DOLTANG)은 한국에서 활동 중인 프로그레시브 록 및 즉흥 연주 기반의 앙상블로, 현지 재즈 신에서 빠르게 주목을 받았습니다.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용리의 주도 아래, 이들은 구조적인 정교함과 함께 현대 사회의 부조리를 반영한 에너지 넘치고 풍자적인 즉흥 연주를 선보입니다. 전자 사운드, 복잡하게 얽힌 리듬, 록과 팝, 컨템퍼러리 재즈의 요소들이 어우러져 밀도 높은 실험적 사운드를 만들어냅니다. 2024년 jazzahead!, 자라섬재즈페스티벌, 헝가리의 Opus Jazz Club 무대에 오른 이들은, 2025년 1월 5일 유닛 레코즈(Unit Records)를 통해 데뷔 앨범 Invisible Worker를 발매했습니다. 이후 Bimhuis, Enter Enea Jazz Festival, KAAP, Jassmine 등 유럽 주요 재즈 무대에서의 공연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동 공연은 동시대 한국 공연예술을 소개하는 문화원의 K_on_temporary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됩니다. yonglee & the DOLTANG: 인스타그램 링크 DE/SEMBLE: 인스타그램 링크, 홈페이지 링크
자세히 보기
K_on_temporary: yonglee & the DOLTANG_DE/SEMBLE Festival
지난 5월 14일부터 17일까지,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Korea Kulturzentrum)은 현지 미술 축제 ‘비엔나 시티 갤러리 워크 (Vienna City Gallery Walk)’에 참가했습니다. 축제 기간 동안 많은 방문객이 사진전 ‘서울에서 살으렵니다(Mega Seoul 8 Decades)’를 관람했습니다. 문화원 행사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전시] 비엔나 시티 갤러리 워크 (Vienna City Gallery Walk)
지난 5월 4일, 오스트리아 오버외스터라이히주에 있는 구타우에서 염색 축제(Färbermarkt Gutau)가 열렸습니다.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Korea Kulturzentrum)은 우리나라의 쪽빛 염색을 소개하는 전시와 다양한 한국 문화 체험 행사를 지원했습니다. 행사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행사] 구타우 염색 축제 (Färbermarkt Gutau)
지난 4월 30일, 빈미술아카데미(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 Wien) 사진학과(Kunst und Zeit, Fotografie) 학생들이 미하엘 회프너 (Mag. Michael Höpfner) 교수와 함께 사진전 ‘서울에서 살으렵니다(Mega Seoul 8 Decades)’를 방문했습니다. 문화원 행사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전시] 빈미술아카데미 전시 관람
지난 4월 11일, 주오스트리아 한국문화원(Korea Kulturzentrum)은 사진전 ‘서울에서 살으렵니다(Mega Seoul 8 Decades)’에 참여 중인 송영숙(Youngsook SONG)님을 모시고 아티스트 토크를 진행하였습니다. 문화원 행사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전시] 아티스트 토크: 송영숙 (Youngsook SONG)